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KBS 수신료 해지 조건, 해지 방법, 환불 방법

대부분의 대한민국 국민에게 KBS 수신료(매월 2,500원)가 부과됩니다.
KBS 수신료는 TV 소지 유무, TV 시청 유무 등에 관계없이 일단 부과되는 요금입니다.
하지만 집안에 TV(수상기)가 없다면 해지하여 수신료를 납부하지 않을 수 있고, 환불도 받을 수 있습니다.
KBS 수신료 해지는 온라인, 고객센터/관리사무소 문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목차
KBS 수신료 해지 조건
KBS 수신료 해지 방법
KBS 수신료 환불 방법

KBS 수신료 해지 조건

KBS 수신료는 해지 조건은 '집안에 TV 수상기가 없을 것'입니다.

 

여기서 TV 수상기는 단순히 TV뿐만 아니라, TV 방송 전파를 수신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말합니다.
아래는 TV 수상기 목록의 예시입니다.

  • 공영방송 전파를 수신하여 영상으로 비출 수 있는 기기(브라운관/LCD/LED TV)
  • 주방, 화장실 등의 소형 TV
  • 방송 수신 장치(안테나, 케이블, IPTV 셋톱박스 등)
  • RF단자가 있는 모니터

그래서 RF 단자가 없는 모니터에 IPTV를 보는 사람은 KBS 수신료를 해지할 수 없습니다.
추가로 OTT 서비스(넷플릭스 등)는 KBS 수신료 납부 대상이 아닙니다.

KBS 수신료 해지 방법

1. 관리사무소 방문

본인의 거주지가 오피스텔, 아파트 등이라면 관리사무소에 방문하여 TV 등록 말소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신청서를 작성 후, 관리사무소 직원이 집에 방문하여 TV수상기가 없다는 것을 확인한다면 KBS 수신료는 더 이상 부과되지 않습니다.
다만, KBS 수신료 해지가 적용되는 날짜는 관리사무소마다 지침이 다를 수 있으니, 직접 문의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2. 한국전력 고객센터 문의

① 한국전력 고객센터(123)에 전화합니다.
※ 한국전력 고객센터 : ☎ (국번 없이) 123, 평일 09~18시
② 2번(누르는 ARS)
③ 0번(상담원 연결)
④ 상담원에게 KBS 수신료 해지를 요청합니다.

3. KBS 수신료 콜센터 문의

① KBS 수신료 콜센터(1588-1801)에 전화합니다.
※ KBS 수신료 콜센터 : ☎ 1588-1801(평일 09~18시)
② 2번(누르는 ARS)
③ 0번(상담원 연결)
④ 상담원에게 KBS 수신료 해지를 요청합니다.

상담원과 통화 시에는 TV 수상기 소지 여부에 대해서 단호하게 없다고 말해야만 다음 절차(직원 방문 등)로 진행됩니다.
KBS 측에서 TV 수상기 소지를 조금이라도 의심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상담 단계에서 해지 절차를 종료시키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KBS 수신료 콜센터에서 전화를 받을 확률이 낮습니다.
KBS 수신료 홈페이지 문의도, 콜센터를 통해 다시 문의하라는 답장이 올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서 한국전력 고객센터 문의를 통한 해지를 추천하고, 정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KBS 수신료 해지 콜센터 전화 안 받음 해결 방법 4가지

KBS 수신료 환불 방법

KBS 수신료는 준조세(TV 소유자의 공영방송 부담금)로서, 수신료 납부 기록이 5년간 KBS 측에 저장됩니다.

그래서 최근 5년간 본인이 TV 수상기를 소지하지 않았다면, 최대 5년간의 KBS 수신료(15만 원)를 환불받을 수는 있습니다.

다만, KBS 측에서 이를 인정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법에서도 무죄추정원칙이 있듯이 무언가를 했다는 것은 증명하기 쉽지만, 하지 않았다는 것은 증명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KBS 수신료를 환불받았다는 후기가 지금도 올라오고 있습니다.
아래의 사항을 주장하면서 KBS 수신료 고객센터(1588-1801)에 집요하게 환불을 주장하면 전액까지는 아니라도 일부 환불은 받을 수 있습니다.

  • TV 수상기 존재 여부조차 확인하지 않은 채, 세대주 동의 없는 수신료 징수의 부당함
  • TV 수상기 등록 의무는 있지만, 미소지 신고 의무의 부재
  • 본인의 TV 전파 수신 관련 기록(IPTV 계약, RF 단자가 있는 모니터 등)의 부재

지금까지 KBS 수신료 해지 조건 및 방법, 환불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비록 큰돈은 아니지만,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는 데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