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대상지역은 정부가 정한 부동산 규제지역 중 하나입니다.
조정대상지역의 부동산의 소유자는 취득세 중과세율 적용, 종합부동산세 중과세율, 대출 적용비율 제한 등 비조정대상지역의 소유자에 비해 더 많은 금전적 불이익을 감수해야 합니다.
게다가 수시로 지정되거나 해제되기 때문에 부동산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라면 항상 최신의 조정대상지역정도는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조정대상지역 확인 방법
1. 국토교통부
조정대상지역 지정은 국토교통부가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뉴스, 언론사, 블로그 등 보다 더 정확하고 최신의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행정규칙(훈령·예규·고시)
www.molit.go.kr
※ 경로 :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 행정규칙 - "조정대상지역 지정" 검색
사진의 가장 위에 있는 "조정대상지역 지정 해제"글은 최신의 변동사항입니다.
현재 조정대상지역을 확인하고 싶다면 가장 최신 글 또는 그 이전 글의 "조정"란이 현행 조정대상지역입니다. 위 사진은 22.9.26에 작성된 11번 글로 최신의 전국 조정대상지역이 나와있습니다. 나머지 12번, 13번 글은 수도권의 조정대상지역 변동사항만 나와있습니다.
나중에 전국 조정대상지역이 업데이트될 경우를 대비해서 이후 글들을 한 번씩 체크하시길 바랍니다.
2. 호갱노노(PC, 모바일)
호갱노노를 이용한 확인 방법은 국토교통부와는 다르게 적용되는데 며칠의 지연 시간이 있습니다.
애초에 국토교통부의 데이터를 받아오니까 당연하겠지만, 위 방법과는 견줄만한 편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도로 조정대상지역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죠.
도심지 주변과 같이 변동이 잘 되지 않는 지역은 이 방법으로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호갱노노 애플리케이션 실행 또는 홈페이지 방문(바로가기)합니다.
그다음 화면 오른쪽의 "정책"(빨간색 원)을 클릭 후 "규제"(검은색 원)를 클릭합니다.
위 사진과 같이 빨간색 지역은 투기지역, 주황색 지역은 투기과열지구, 노란색 지역은 조정대상지역으로 구분해서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이후 "규제"(빨간색 원)를 한번 더 클릭하면 지역별로 나타난 색깔들이 사라집니다.
다음 표로 정리하며 이번 글을 마무리짓겠습니다.
구분 | 장점 | 단점 |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 신뢰도가 높다. 업데이트 속도가 빠르다. |
해당 지역을 찾으려면 1~3개의 글을 봐야한다. |
호갱노노 | 한눈에 원하는 지역을 찾아볼 수 있다. | 업데이트 속도가 느리다. |
'세금 및 소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대주택사업자의 세제 혜택(재산세) (0) | 2023.10.10 |
---|---|
조정대상지역 규제내용 정리 (0) | 2023.10.10 |
2023년 종합부동산세 합산배제 및 과세특례 주요 사항 (0) | 2023.09.20 |
2023년 종합부동산세 과세특례 신고 대상, 신고 및 취소 방법 (0) | 2023.09.20 |
연말정산 관련 용어 (0) | 2023.09.18 |